안녕하세요! K.min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홍삼의 정의, 효능, 좋은 제품 고르는 법의 일부에 대한 글을 썼습니다.
오늘은 그 내용을 이어나갈까 합니다. 먼저 밝혀두어야 될 것이 있습니다.
만약 홍삼농축액을 구입하러 하나의 브랜드를 취급하는 매장을 가셨다면 이 글을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관장 매장에 가셨을때 홍삼정과 홍삼정 마일드를 서로 비교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냥 무조건 가격이 높을수록 좋은제품이고 자기가 생각하는 금액에 맞는 소비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무조건이라고 하니 신뢰가 안가신다고요?
그 이유는 다음 글인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3편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또 형식상 선물로 홍삼농축액을 구입하고자 하는 분도 이 글을 보실 필요는 없겠죠?? 국내 유명 브랜드 제품 적당한 거
하나 사면 되니까요.
이 글은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브랜드의 제품을 취급하는 곳에서 부모님이나 가족, 자신을 위해
홍삼농축액을 구입하시고자 한다면 주의 깊게 보셔야 합니다.
일단 좋은 홍삼농축액을 고르기 위한 4가지 요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1편 에서 쓰인 사진 하나를 재탕하겠습니다.
1. 홍삼농축액의 비율
-> 홍삼농축액의 비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맛은 더 강해지겠지만 홍삼의 효능이 더 빛을 발합니다.
단순히 생각해도 제품의 총량 중에 홍삼농축액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 많이 들어간 거니 당연하겠죠?
2.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 보통 mg/g의 단위로 표시하는데 제품의 용량이 100g이고 Rg1 + Rb1 + Rg3 = 5.5mg/g이라면
제품에 진세노사이드의 양은 = 550mg으로 해석하시면 될 건데 이건 별로 중요하지 않고
쉽게 말해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은 이전 글인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1편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3. 고형분
-> 고형분이라 함은 홍삼농축액에서 수분을 증발시켰을 때 홍삼가루인데 홍삼가루의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 좋은 제품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4. 홍삼의 종류와 년수
-> 홍삼 제품으로는 보통 4~6년 근이 있는데 6년근이 가장 좋으며 국내 제품은 웬만하면 다 6년 근을 씁니다.
그 이상 자라면 표피가 거칠어지고 목질화가 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덜 자랐을 때는 영양분이 좀 떨어집니다.
그리고 홍삼의 종류라 함은 등급 순으로 천삼, 지삼, 양삼, 절삼, 미삼 등으로 구분되는데
하늘천(天)을 쓰는 천삼이 제일 등급이 높고 그다음은 땅지(地)를 쓰는 지삼이 그다음 등급입니다. 그 외에는 다
거기서 거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4가지 요소를 고르게 확인해야 좋은 홍삼농축액인지 판단이 가능하고, 가격 및 제품 중량까지 고려하면
여러분들은 가성비 대비 좋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야를 가지게 된 겁니다.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예시를 보시면 훨씬 이해가 잘 되실 겁니다.
국내 홍삼제품 브랜드는 무척 많습니다.
그중에서 5개사만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쿠 X에서 가장 인기 있는 홍삼농축액 1위에서 5위까지의 해당 제품에 대해 해당 성분을 비교 및 정리해보았습니다.(2020. 09. 24 기준)
위에 첫 번째 표는 그대로 정리 해놓은 상태이며 두번째표는 첫번째 표를 용량을 100g으로 규격화하여 보기 간결하게 해 놓았습니다. 이렇게 하니 비교가 쉬워졌습니다. 자 여러분들은 어떠한 제품을 고르시겠습니까?
딱 봐도 A제품은 제쳐야 맞습니다. 농축액 함량이 저 정도면 거의 음료수 느낌이네요. D와 E만 본다면 E의 가격의 D의 3배인데 농축액 함량은 비슷합니다. E도 리스트에서 삭제합니다. 그렇다고 D가 B와 C보다 좋은 제품은 아닙니다. 농축액 함량 대비 가격이 그렇게 저렴하지도 않습니다.
B와 C가 A, D, E에 비해 그래도 가격 대비 더 나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 D, E만 제쳐도 무난히 성공한 겁니다.
굳이 B, C 중 하나를 고르라면 계산기를 두드려야 합니다. 그래도 한번 두드려볼까요??
B의 경우에는 용량 100g 기준으로 농축액 함량이 100%이므로 농축액은 100g입니다. 고형분은 60%이므로
홍삼가루는 60g입니다. 진세노사이드는 4mg/g 이므로 진세노사이드의 양은 240mg입니다. 21,250원 / 240mg =
약 88.5원/mg입니다. 진세노사이드 1mg당 88.5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C의 경우도 용량 100g 기준, 농축액 함량 100%니 농축액 100g입니다. 고형분은 64%이므로 홍삼가루 64g입니다.
진세노사이드는 5.7mg/g이므로 양은 364.8mg입니다. 35,229원 / 364.8mg = 약 96.5원/mg이므로
B의 제품이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근데... 여기까진 하지 맙시다.. 제품 고르려고 이렇게 머리 쓰는 사람은 없을 거니까요
결국 제품이 좋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B> C> D> E> A 이렇게 되겠네요
A, B, C, D, E 각각 무슨 제품인지 직접 밝히지는 뭐하지만 이 정도 힌트는 문제없을 거 같네요 * 2>5>1>4>3 *
다음에는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3편으로 홍삼 대표 브랜드인 정관장의 제품에 대해서 비교분석
해보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건강제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3편(정관장 고르는법, 정관장 비교분석) (0) | 2020.09.26 |
---|---|
홍삼농축액, 똑똑하게 고르는 법을 알아보자. - 1편(홍삼의 정의, 효능, 좋은제품 고르는법) (0) | 2020.09.22 |
댓글